페이지 정보
관리자 612 0 2020-01-16 17:16:39본문
[1929년] 광주학생항일운동
광주학생항일운동은 광주고등보통학교를 비롯한 광주의 학생들이 일제로부터 받은 차별과, 일본인 학생들과의 갈등이 고조되면서 일어났다. 특히 한일 학생간의 대립은 1929년 10월 30일 오후반경 경주발 통학열차가 나주에 도착하였을 때 폭발되었다. 나주역에서 통학생들이 걸어나올 때 일본인 학생 몇 명이 광주여자고등보통학교 3학년 학생 박기옥, 이금자, 이광춘 등의 댕기머리를 잡아당기면서 모욕적인 발언과 조롱을 하였다.
그때 역에서 같이 걸어나오고 있던 박기옥의 4촌 남동생이며 광주고등보통학교 2학년인 박준채 등이 격분하여 이들과 충돌하였다. 이때 출동한 경찰이 일방적으로 일본인 학생을 편들며 박준채를 구타하였다.
이 사건 이후 고조되어 가던 광주고등보통학교를 비롯한 광주 학생들의 대일항쟁심은 '독서회중앙본부'의 적극적인 활동으로 하나로 뭉쳐져 1929년 11월 3일 대항일 학생운동으로 전개될 수 있었다. 이날은 일본으로서는 명치절이었고, 우리에게는 음력 10월3일인 개천절이었으며, 광주 학생들의 독서회원들에게는 전신인 성진회 창립3주년이 되는 날이었다. 광주고등보통학교 학생들은 명치절기념식 후 있을 신사 참배를 거부하고, 소극적 투쟁에서 벗어나 적극적인 실력행사에 들어가기로 작정하였다.
한일 학생들 사이에서는 시내에서 싸움이 발생하였고, 이후 광주고등보통학교 학생들은 집회를 열고 가두시위를 벌였다. 또환 광주농업학교 학생 일부가 뒤를 따랐고, '조선독립만세'를 외치고 운동가를 고창하며 행진해 나갔다. 11월 3일의 가두 투쟁 이후 일부 학생들이 구속당하자, 항일 학생들은 오히려 발전된 대일 항쟁을 전개하였다. 광주의 학생 가두 투쟁을 민족 독립운동의 차원으로 확대하기 위하여 신간회지부, 청년단체, 사회단체가 나서 전국화에 힘썼다. 이때부터 광주 학생운동은 학생이 항일 선도 세력으로서의 기능을 담당해 나가고, 민족 각 계층에서도 참여한 공동 투쟁의 단계가 돌입했다. 이렇게 2차 시위는 조직적으로 전개되었다.
그러나 일제의 탄압은 2차 투쟁 때부터 열기를 더해갔다. 투쟁에 참여한 학생들에 대한 무기정학, 퇴학 등의 처분으로 항일운동을 억압했다. 하지만 학생들의 항일운동은 쉽게 멈추지 않았고, 광주 뿐만 아니라 전국의 학교에서 교내시위, 광주 학생 지원, 동맹휴교 등의 활동이 이어졌다.
이처럼 광주 학생의 대일 항쟁은 심화와 발전을 거듭하며, 사회운동, 청년운동 등 민족 독립운동에 대한 수용력을 보여주었고, 조직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또한 식민지 교육 체제를 반대하고, 민족 교육을 주창하며 궐기한 민족 독립 항쟁이었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5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