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광복군 창설

본문

[1940년] 한국광복군 창설

 

1937년 중일전쟁이 발발하자 임시정부는 군사위원회를 설치하고 광복군 창설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일본군의 점령 지역이 중국 대륙으로 확대되면서, 임시정부는 여러 곳으로 피난처를 옮겨다니는 상황에서 여의치 않았다.

비로소 1940917일 중국의 임시 수도였던 충칭에 정착하면서 광복군 총사령부를 성립할 수 있었다. 임시정부 주석 김구는 광복군 선언문을 발표하여 "광복군은 한·중 두 나라의 독립을 회복하고자 공동의 적인 일본제국주의를 타도하며 연합군의 일원으로 항전할 것을 목적으로 한다"고 광복군 창설의 취지를 천명하였다.

광복군은 병력 모집을 위한 기구로 5개의 징모분처(徵募分處)를 설치하여, 산서성(山西省수원성(綏遠省절강성(浙江省안휘성(安徽省) 등지로 대원들을 파견하였다. 이들은 일본군 점령 지역으로 들어가 그곳에 있는 한인 청년들을 대상으로 초모공작(招募工作)을 전개하였다. 그 결과 광복군 창설 1년여 만에 3백 여명에 이르는 병력을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19425월 김원봉이 주도하던 조선의용대가 광복군으로 편입되었다. 이후에도 계속해서 병력을 모집하여 대원들은 점차 증가했다.

광복군은 중국에 파견되어 있던 미국전략사무국(OSS)과 협약을 맺고 특수 공작 훈련을 실시하여 국내진공작전을 계획했다. 그러나 국내진공작전은 일본의 무조건 항복으로 실행에 옮기기 직전에 취소되어 무산되고 말았다. 김구는 "천신만고로 수년간 애를 써서 참전할 준비를 한 것도 다 허사이다"라고 일본의 항복을 개탄했다.

임시정부는 광복군을 창설한 다음 해인 194111월에 대한민국 건국강령(大韓民國建國綱領)을 발표하여 자력으로 이민족의 전제를 전복한다라는 자주 독립 노선을 내외에 천명하고 조국 광복 실천의 3단계를 제시하였다. 1기 대적혈전기(對敵血戰期), 2기 국토의 일부를 회복하여 임시정부가 국내로 이전한 시기, 3기 국토를 완전 탈환하여 복국(復國)을 완성하는 시기가 그것이다.

강령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광복군의 국내진공작전이 실현되어야만 했던 것인데, 실현 직전에 일본이 항복하고 말았기 때문에 전후(前後)의 한국 독립 문제에 대하여 임시정부의 발언권이 없어지고 만 것이다.

일본이 항복한 이후 광복군은 중국 지역에서 일본군으로 끌려나왔던 한국 청년들을 광복군에 편입시키면서 확군(擴軍) 작업을 추진하고 있었다. 그러나 미군정 당국이 임시정부를 인정하지 않았고, 광복군에 대해서도 무장 해제를 요구하였다.

때문에 임시정부 요인들은 개인 자격으로 귀국 할 수밖에 없었고, 광복군도 무장을 해제한 상태로 귀국할 수 밖에 없었으며, 19466월 해체되었다. 귀국한 광복군의 일부는 대한민국 국군에 참여하여 활동하기도 하였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513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